소멸시효에 관한 외국 판례 연구 > 민사소송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소멸시효에 관한 외국 판례 연구 > 민사소송 HOME  >    >  
SHOP
CUSTOMER
CENTER
  • TEL

    02-521-8199

  • FAX

    02-598-0332

입금계좌안내

예금주 : 양갑수


국민은행 : 863-21-0114-637


신한은행 : 110-086-585561


농 협 : 367-12-088852


기업은행 : 018-266-1460


소멸시효에 관한 외국 판례 연구 > 민사소송

소멸시효에 관한 외국 판례 연구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박영사
시중가격 29,000원
판매가격 27,500원
포인트 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저자 이은경
쪽수 334 쪽
출간일 2023년 2월 25일

선택된 옵션

  • 소멸시효에 관한 외국 판례 연구 (+0원)

관련상품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목  차


  • 제1장 소멸시효 개관
    제1절 현대적 소멸시효 3
    1. 개요 3
    가. 소권 3
    나. ne autem lites immortales essent, dum litigantes mortales sunt 4
    다. extinctive prescription과 limitation of action 5
    라. 공익 vs 권리자의 이익 vs 채무자의 이익 6
    2. 외국 소멸시효 개정 방향 7
    가. 주관주의 체계(subjective criterion) 7
    나. contra non valentem(agere non valenti non currit praescriptio) 9
    다. 시효제도의 통합 및 기간의 단축 10
    라. 이중체계-주관주의와 객관주의 11
    3. 독일 12
    가. 주관주의 체계 12
    나. 고도의 인격적 법익 침해에 대한 보호 13
    다. 최장기간(long-stop) 14
    4. 프랑스 15
    가. 주관주의 체계 도입 15
    나. 일반 소멸시효의 통합화 16
    다. 특별 시효-사람의 생명ㆍ신체 법익 보호 17
    라. 장기 시효(Délai butoir) 18
    5. 일본 18
    가. 서설 18
    나. 주관주의 체계의 도입 19
    다. 생명ㆍ신체 침해에 관한 소멸시효 특칙 20
    라. 최장기간에 관한 소멸시효 명문화 21
    제2절 손해배상청구권 22
    1. 불법행위에서의 손해 22
    2. 예측 가능한 손해와 예측 불가능한 손해 23
    가. 독일 23
    나. 프랑스 24
    다. 일본 25
    라. 손해의 발생 26
    3. 최장기간(Long-stop)에서 ‘손해 발생’에 관한 논쟁 27
    제3절 발생주의(the time of act)와 발견주의(discovery rule) 29
    1. 발생주의(the time of act) 29
    2. 발견주의(discovery rule) 31
    3. 발견주의(discovery rule) 적용 확대 35

    제2장 과실책임소송
    들어가며 39
    제1절 미국 40
    1. Carrell v. Denton 소송 41
    가. 개요 41
    나. 법원의 판단 42
    2. Gaddis v. Smith 소송 43
    가. 개요 43
    나. 법원 판단 43
    다. 판결의 의의 44
    3. Ruth v. Dight 소송 45
    가. 개요 45
    나. 법원의 판단 45
    다. 판결의 의의 46
    4. Hansen v. AH Robins, Inc. 46
    가. 개요 46
    나. 위스콘신 주 대법원의 판단 47
    다. 판결 분석 48
    5. Borello v. US Oil Co. 49
    가. 개요 49
    나. 위스콘신 주 대법원의 판단 50
    다. Stoleson v. United States 51
    라. 판결에 대한 분석 51
    제2절 프랑스 52
    1. 노령 연금 소송 52
    가. 개요 52
    나. 프랑스 파기원(Cour de cassation)의 판단 53
    다. 판결 분석 53
    2. 연금 미지급 소송 54
    가. 개요 54
    나. 프랑스 파기원(Cour de cassation)의 판단 55
    다. 판례 분석 56
    제3절 일본 57
    1. 맹장절제 의료과실소송 57
    가. 개요 57
    나. 법원의 판단 58
    다. 판결 분석 59
    2. 신생아 뒤바뀐 사건 60
    가. 사실관계 60
    나. 항소법원의 판단 60
    다. 판결 분석 61
    3. 예방접종 사건 62
    가. 사실관계 62
    나. 최고재판소의 판단 63
    다. 판결 분석 63
    4. B형 간염 소송 판결 65
    가. 사실관계 65
    나. 법원의 판단 66
    다. 판결 분석 68
    5. Eşim v Turkey ECtHR 68
    가. 사실관계 68
    나. 유럽 인권재판소의 판단 69

    제3장 잠재적 손해
    제1절 영국 74
    1. 개요 74
    2. Cartledge v. E. Jopling & Sons Ltd. 소송 75
    3. Pirelli General Cable Works Ltd. v. Oscar Faber & Partners 76
    제2절 미국 77
    1. 개요 77
    2. Urie v. Thompson 소송 78
    가. 사실관계 78
    나. 판단 78
    다. 판결 분석 79
    3. Wilson v. Johns-Manville Sales Corp. 80
    가. 사실관계 80
    나. 법원의 판단 81
    다. 판결 설명 82
    4. Martinez-Ferrer v. Richardson-Merrell 83
    가. 사실관계 83
    나. 항소법원의 판단 83
    제3절 덴마크 84
    1. 서설 84
    2. Dansk Eternit-Fabrik v. Möller 소송 86
    가. 개요 86
    나. 최고법원(Højesteret)의 판단 86
    다. 판결분석 88
    3. Phønix 소송과 Cheminova 소송 88
    가. A/S Phønix Contractors mod Frederikssund Kommune 88
    나. Cheminova 소송 89
    제4절 일본 90
    1. 개요 90
    가. 아연제련소 소송 91
    나. 크롬 소송 91
    다. 삿포로 크롬 소송 91
    2. 비소 중독소송 92
    가 개요 92
    나. 판결 분석 93
    3. 진폐 관련 소송 93
    가. 개요 93
    나. 법원의 판단 94
    다. 판결 분석 97
    4. 치쿠호 진폐 소송 99
    가. 개요 99
    나. 법원의 판단 100
    다. 판결 분석 101
    5. 미나마타 소송 102
    가. 개요 102
    나. 최고재판소 판단 102
    다. 판결 분석 104
    제5절 네덜란드 104
    1. 서설 104
    2. Van Hese v. Schelde 소송 105
    가. 사실관계 105
    나. 최고법원(Hoge Raad) 판단 106
    다. 판결 설명 107
    3. Nefalit 사건 109
    가. 개요 109
    나. 최고법원(Hoge Raad) 판단 109
    다. 판결 설명 110
    제6절 프랑스 111
    1. 암염 광산 소송 111
    가. 사실관계 111
    나. 파기원(Cour de cassation)의 판단 112
    다. 판결 분석 112
    2. 후유증 소송 113
    가. 개요 113
    나. 파기원(Cour de cassation)의 판단 113
    다. 판결 설명 114

    제4장 아동 성 학대(CSA)
    제1절 서설 117
    제2절 영국 119
    1. Stubbings v Webb소송 119
    가. 사실관계 119
    나. 최고법원의 판단 121
    다. 판결에 대한 비판 121
    2. A v Hoare 소송 122
    가. 개요 122
    나. 최고 법원의 판단 123
    다. 판결 설명 125
    제3절 미국 및 캐나다 126
    1. Tyson vs Tyson 소송 127
    가. 개요 127
    나. 워싱턴 주 대법원의 판단 127
    다. 판결의 한계 130
    2. Hammer vs Hammer 사건 130
    가. 개요 130
    나. 위스콘신 주 대법원의 판단 132
    다. 판결 설명 133
    3. Johnson vs Johnson 사건 133
    가. 사실관계 133
    나. 일리노이 주 대법원의 판단 134
    다. 판결 설명 135
    4. M. (K.) v. M. (H.) 소송 136
    가. 개요 136
    나. 법원의 판단 136
    다. 판결 분석 137
    제4절 독일 139
    1. 개정 전 아동 성학대 판결 비교 139
    가. OLG Köln 법원 판단 139
    나. OLG Hamm 법원의 판단 140
    다. 판례 비교 141
    2. 성적 자기결정권의 침해로 인한 청구권의 시효정지 141
    가. 제208조 신설 141
    나. 규정 설명 142
    3. OLG Oldenburg 판결 143
    가. 사실관계 143
    나. Oldenburg 주 고등법원의 판단 144
    다. 독일 연방대법원 판단 144
    라. 판결 설명 145
    4. OLG Schleswig 판결 146
    가. 개요 146
    나. Schleswig 고등법원의 판단 147
    다. 판결 분석 148
    제5절 일본 148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소송 148
    가. 개요 148
    나. 항소법원의 판단 149
    다. 판결 설명 151
    제6절 우리나라 아동성학대 소송 152
    가. 사실관계 152
    나. 법원의 판단 153
    다. 판결 설명 154

    제5장 사해적 은폐행위
    제1절 영미법계 158
    1. Lewey v. H. C. Frick Coke Co. 159
    가. 사실관계 159
    나. 법원의 판단 159
    2. Pashley v. Pacific Electric Railway Co. 판결 160
    가. 개요 160
    나. 판단 161
    3. Guerin v. R 판결 162
    가. 개요 162
    나. 법원의 판단 162
    다. 판결 설명 164
    제2절 프랑스 165
    1. 보험계약소송 165
    가. 사실관계 165
    나. 파기원(Cour de cassation)의 판단 166
    2. 파이프 매설 소송 167
    가. 사실관계 167
    나. 파기원(Cour de cassation)의 판단 167
    제3절 일본 168
    1. 신의칙에 의한 권리남용 판결 168
    가. 무단 전대소송 168
    나. 농지전용신청 사건 169
    2. 살해 후 시신 은닉 사건 169
    가. 사실관계 169
    나. 최고재판소의 판단 170
    다. 판결 설명 171

    제6장 우리나라 소멸시효
    제1절 민법 제166조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때’ 175
    1. 일본 175
    가. 법률상 장애 175
    나. 현실적 기대가능성 도입 176
    다. 나가사키 지방법원 판례 177
    라. 시즈오카 법원 판례 178
    마. 변제공탁 소송 179
    바. 보험금 청구 소송 180
    사. 중국인 강제 연행 히로시마 소송 181
    2. 우리나라 182
    가. 과세처분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소송 182
    나. 후유증 소송 183
    다. 이사회 결의 부존재 소송 185
    라. 보험금 청구 소송 186
    3. 제언 187
    제2절 제766조 제1항 고찰 188
    1. 독일 188
    가. 서설 188
    나. 오토바이 사고 소송 189
    2. 일본 190
    가. 서설 190
    가. 허위자백사건 192
    나. 교토 통신 판결 192
    다. C형 감염 판결 194
    라. 후쿠오카 항공사건 195
    3. 우리나라 196
    가. 특별규정의 의미 196
    나.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인식 197
    다. 납북 관련 손해배상소송 197
    라. 유죄 판결에 대한 재심 사건 199
    제3절 민법 제766조 제2항의 ‘불법행위 한 날’ 202
    1. 독일 202
    2. 일본 203
    가. 서설 203
    나. 훗카이도 강제연행사건 204
    다. 독가스 병기 방치 사건 205
    3. 우리나라 207
    가. 문제의 소재 207
    나. 대법원 1979. 12. 26. 선고 77다1894,1895 전원합의체 판결 207
    다. 무권리자에 대한 손해배상소송 210
    라. 혈우병 소송 212
    마. 압수폐기물 사건 213

    제7장 소멸시효 전망
    제1절 ‘contra non valentem’의 확대 219
    1. 법언 ‘valentem agere nulla currit praescriptio’ 219
    2. 독일 시효정지(Hemmung der Verjährung) 220
    가. 서설 220
    나. 정치적 제약(konkreter politischer Zwänge) 판례 222
    다. 의료과실 소송 224
    3. 프랑스 시효정지 226
    가. 불가항력(force majeure)의 시효정지 226
    나. 불가항력(force majeure) 판례 227
    다. 소송 수행 조항(clause de direction du procès) 판례 229
    라. 신체 침해에 대한 ‘확정’ 판례 231
    4. ‘contra non valentem’ 적용 범위 확대 232
    제2절 생명ㆍ신체 침해와 최장기간(long-stop) 233
    1. 개요 233
    2. 입법 현황 234
    가. 영국 234
    나. 네덜란드 235
    다. 프랑스 235
    3. Howald Moor and Others v. Switzerland 236
    가. 사실관계 236
    나. 유럽 인권재판소 판단 237
    다. 판결 설명 238
    4. 사람의 생명ㆍ신체 침해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 239
    가. 개요 240
    나. 판례의 태도 241
    다. 헌법재판소의 객관적 기산점 적용 위헌 결정 242
    라. 헌재재판소 결정 의의 243
    제3절 유죄 판결에 대한 손해배상청구 244
    1. 일본 244
    가 학설대립 244
    나. 판례 246
    다. 1982년 최고재판소 판결 246
    2. 우리나라 247
    가. 개요 247
    나. 대법원 2019. 1. 31. 선고 2016다258148 판결 248
    다. 검토 249
    제4절 위자료에 관한 지연손해 기산점 250
    1. 문제제기 250
    2. 외국과의 비교 251
    가. 독일 251
    나. 일본 252
    3. 지연 손해 발생시점 253
    가. 대법원 2011. 7. 21. 선고 2011재다199 전원합의체 판결 253
    나. 비판적 검토 253
    다. 지연 손해의 기산점 255

    제8장 위안부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이 2015년 한일합의 또는 국가면제에 의해 제한되는가?
    Ⅰ. Introduction 261
    Ⅱ. Does the 1965 Korea-Japan Agreement Limit the Rights of Comfort Women Victimsto Claim Compensation? 263
    1. 1965 Korea-Japan Agreement 263
    2. Japan’s Position on Individual Claims for Compensation 265
    3. Korea’s position on Individual Claims for Compensation 277
    Ⅲ. Whether the claim rights of ‘comfort women’ victims have been extinguished under the 2015 Korea-Japan Agreement 281
    1.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2006 Heonma 788) 281
    2. 2015 Korea-Japan Agreement 282
    Ⅳ. Whether the State immunity applies to ‘comfort women’ Victims’ Right to Claim Compensation 292
    1. Whether the 2015 Korea-Japan Agreement can limit individual claims 292
    2. Concerns about the outcome of the ICJ’s judgment and its judicial approach to jus cogens violations. 295
    3. Whether the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victims, sexual abuse, and coercion of sexual slavery were ‘unpredictable damages during armed conflict’ 300
    Ⅴ. Conclusion 301

    국문색인 303
    영문색인 310

배송정보

:: 구입도서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입니다.
:: 제주도, 도서(섬)지역의 경우 추가배송료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 단 제주도 및 섬지역의 경우에도 결제금액이 10만원이상일 경우 추가배송료(항공료)없이 무료배송입니다.
:: 배송은 로젠택배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 입금확인 후, 수도권 및 지방은 2~4일 이내(평일 기준)에 도서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천재지변에 의한 기간은 배송기간에서 제외합니다. ]


※ 배송절차 및 주문안내

배송절차는 결제확인(카드결제시), 입금확인(무통장입금)→결제확인 및 도서준비중→배송중→배송완료 총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주문하신 내용의 변경 또는 취소는 장바구니에서만 가능합니다.주문을 하시고 결제전(카드결제시)이거나 입금확인
(무통장입금)이 되지 않을 경우 2일후 주문은 취소됩니다.
변경이나 취소를 원하는 경우에는 배송되기 전에 전화주시면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발송된 상품 주문에 대한 변경 및 취소할 경우에는 이에 따르는 배송비를 구매자가 부담하셔야 합니다.

.

교환/반품

:: 도서의 교환이나 환불은 법률서점에서 구입한 도서에 한합니다.
:: 파본의 경우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합니다.
:: 구입하신 도서가 잘못된 경우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화번호(02-521-8199)
:: 오픈매장 영업시간은 평일 오전9시부터 오후 7시까지입니다.
:: 기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훼손 및 고객변심에 의한 교환이나 환불은 불가합니다.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회사명 법률서적 주소 서울 서초구 법원로2길 7-4 동용빌딩 1층 104호(서초동1712-2)
사업자 등록번호 747-23-00170 대표 양갑수 전화 02-521-8199 팩스 02-598-033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서울서초-2185호 Copyright © 2015 법률서적. All Rights Reserved.

CREATED BY 바른web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