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족상속법 강의 - 5판 > 가사/가족

본문 바로가기

쇼핑몰 검색

친족상속법 강의 - 5판 > 가사/가족 HOME  >    >  
SHOP
CUSTOMER
CENTER
  • TEL

    02-521-8199

  • FAX

    02-598-0332

입금계좌안내

예금주 : 양갑수


국민은행 : 863-21-0114-637


신한은행 : 110-086-585561


농 협 : 367-12-088852


기업은행 : 018-266-1460


친족상속법 강의 - 5판 > 가사/가족

친족상속법 강의 - 5판 요약정보 및 구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제조사 박영사
시중가격 36,000원
판매가격 34,200원
포인트 0점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저자 윤진수
쪽수 720 쪽
출간일 2023년 7월 30일

선택된 옵션

  • 친족상속법 강의 - 5판 (+0원)

관련상품

상품 정보

상품 상세설명

목  차


  • 제1편 친 족

    제1장  친족법 서론  3
    Ⅰ. 친족법의 의의 및 특질 3
    1. 친족법의 의의 3
    2. 가족의 기능과 친족법의 기능 5
    3. 친족법의 특질 7
    Ⅱ. 가족관계와 친족법의 변화 9
    1. 친족법의 연혁 9
    2. 가족관계의 변화 10
    Ⅲ. 친족법과 민법총칙 11
    제2장  친족의 범위  14
    Ⅰ. 친족의 종류 14
    1. 배우자 14
    2. 혈 족 14
    3. 인척(姻戚) 15
    Ⅱ. 친족의 범위와 가족 16
    1. 촌수(寸數)의 계산 16
    2. 친족의 범위 16
    3. 가족의 개념 16
    제3장  혼 인  18
    Ⅰ. 혼인의 의의와 혼인제도의 역사 18
    1. 혼인의 의의 18
    2. 혼인제도의 역사 32
    3. 혼인제도의 기능과 특성 32
    Ⅱ. 약 혼 33
    1. 약혼의 의의와 요건 33
    2. 약혼의 효과와 그 해소 33
    Ⅲ. 혼인의 성립 38
    1. 혼인의 요건의 분류 38
    2. 혼인의 의사 38
    가. 종래의 학설과 판례⁄39 나. 검 토⁄50 다. 기 타⁄51
    3. 미성년자와 피성년후견인의 혼인 51
    4. 근친혼(近親婚)의 금지 52
    5. 중혼(重婚)의 금지 54
    6. 혼인신고 55
    Ⅳ. 혼인의 무효와 취소 57
    1. 혼인의 무효 57
    2. 혼인의 취소 60
    가. 혼인취소의 사유⁄60 나. 혼인취소의 방법⁄66
    다. 혼인취소의 효과⁄66
    Ⅴ. 혼인의 효과 69
    1. 개 관 69
    2. 일반적 효과 69
    가. 친족관계의 발생⁄69 나. 부부 상호간의 동거ㆍ부양ㆍ협조의무⁄70
    다. 성년의제(成年擬制)⁄73 라. 부부간 일상가사대리권⁄73
    3. 재산적 효과 77
    가. 부부재산계약⁄78 나. 법정재산제⁄79
    다. 가사로 인한 채무의 연대책임⁄81
    라. 생활비용의 공동부담⁄84
    Ⅵ. 이 혼 85
    1. 이혼제도의 의의 및 역사 85
    2. 협의상 이혼 86
    가. 협의이혼의 요건⁄86 나. 협의이혼의 무효와 취소⁄89
    3. 재판상 이혼 90
    가. 이혼사유⁄91 나. 재판상 이혼의 절차⁄114
    4. 이혼의 효과 117
    가. 이혼의 일반적 효과⁄117
    나. 이혼한 부부 사이의 재산관계⁄117
    다. 자녀에 대한 관계⁄145
    Ⅶ. 사 실 혼 157
    1. 사실혼의 의의 157
    2. 사실혼의 요건 158
    가. 주관적 요건과 객관적 요건⁄158
    나. 혼인장애사유가 있는 사실혼⁄159
    3. 사실혼의 효과 165
    4. 사실혼의 해소 166
    5. 사실상혼인관계 존부확인청구제도 170
    제4장  부모와 자녀의 관계  172
    Ⅰ. 친생자관계 172
    1. 혼인 중의 자녀 172
    가. 의 의⁄172 나. 친생자의 추정과 친생부인⁄173
    다. 부(父)를 정하는 소⁄190 라. 자녀의 성(姓)⁄190
    2. 혼인 외의 자녀 195
    가. 인지(認知)의 의의⁄196 나. 임의인지⁄196
    다. 강제인지⁄201 라. 인지의 효과⁄203
    마. 준정(準正)⁄207 바. 친생자관계존부확인의 소⁄207
    3. 보조생식 212
    가. 인공수정⁄212 나. 대리모⁄214
    다. 사후수정(死後受精)⁄216
    Ⅱ. 양자(養子) 217
    1. 양자제도의 의의 217
    2. 일반입양 219
    가. 입양의 요건⁄220 나. 입양의 효력⁄236
    다. 파양(罷養)⁄237
    3. 친양자 241
    가. 요 건⁄242 나. 효 력⁄245
    다. 파양(罷養)⁄246
    4. 입양특례법상의 양자 247
    가. 입양의 요건⁄247 나. 입양의 효과 및 파양⁄250
    다. 기 타⁄250
    Ⅲ. 친권(親權) 251
    1. 친권의 의의 251
    2. 친권자와 친권에 따르는 자 251
    가. 부모가 혼인 중인 때⁄252
    나. 부모가 혼인 중이 아닌 때⁄253
    다. 친권에 따르는 자⁄255
    3. 친권의 내용 255
    가. 신분에 관한 친권⁄255 나. 헤이그 국제아동탈취협약⁄258
    다. 양육의무⁄259 라. 재산에 관한 친권⁄269
    마. 친권자의 동의를 갈음하는 재판⁄277
    4. 친권의 상실, 제한 및 정지 278
    가. 친권과 대리권ㆍ재산관리권의 상실⁄278
    나. 친권의 제한과 정지⁄284
    다. 특별법에 의한 친권상실, 제한과 정지⁄285
    제5장  후 견  287
    Ⅰ. 후견제도의 의의 287
    Ⅱ. 미성년후견 288
    1. 후견의 개시 288
    2. 후견인의 결정 289
    가. 지정후견인과 선임후견인⁄289 나. 후견인의 결격ㆍ사퇴ㆍ변경⁄290
    3. 후견인의 임무 291
    4. 후견의 종료 296
    Ⅲ. 성년후견 297
    1. 성년후견제도의 개요 297
    2. 성년후견 299
    가. 후견의 개시와 성년후견인⁄299 나. 후견인의 임무 및 권한⁄301
    다. 후견의 종료⁄304
    3. 한정후견 305
    4. 특정후견 306
    5. 후견계약(임의후견) 307
    Ⅳ. 후견인의 감독 310
    1. 후견감독인제도의 도입 310
    2. 후견감독인의 결정 311
    3. 후견감독인의 임무 311
    4. 가정법원의 후견인 감독 312
    제6장  친족간 부양  313
    Ⅰ. 부양의무 일반론 313
    Ⅱ. 부양의 당사자 317
    Ⅲ. 부양의 정도와 방법 318

    제2편 상 속

    제1장  상속법 서론  323
    Ⅰ. 상속ㆍ상속법ㆍ상속권 323
    1. 상속과 상속법 323
    2. 상속에 관한 기본개념 324
    Ⅱ. 상속의 유형 325
    1. 상속의 종류 325
    2. 상속의 형태 325
    Ⅲ. 상속법의 연혁 326
    Ⅳ. 상속제도의 근거 332
    Ⅴ. 상속법의 기본원칙 334
    1. 사적 상속 334
    2. 유언의 자유 334
    3. 친족에 의한 상속(피상속인의 가족에의 구속) 335
    4. 법정 당연승계 및 포괄승계 335
    제2장  법정상속  337
    Ⅰ. 상속의 개시 337
    1. 상속개시의 원인 및 시기 337
    2. 상속개시의 장소 338
    3. 상속의 비용 339
    Ⅱ. 상 속 인 340
    1. 상속능력 340
    2. 상속순위 342
    가. 제1순위-피상속인의 직계비속(1000조 1항 1호)⁄342
    나. 제2순위-피상속인의 직계존속(1000조 1항 2호)⁄343
    다. 제3순위-피상속인의 형제자매(1000조 1항 3호)⁄343
    라. 제4순위-4촌 이내의 방계혈족(1000조 1항 4호)⁄343
    마. 배우자(1003조)⁄344 바. 상속인 자격의 중복⁄345
    사. 국가의 상속 여부⁄345
    아. 상속권의 주장과 신의칙위반ㆍ권리남용⁄346
    3. 대습상속 346
    가. 의 의⁄346 나. 대습상속의 요건⁄347
    다. 대습상속의 효과⁄353
    4. 상속결격 353
    가. 의 의⁄354 나. 상속결격제도의 근거⁄354
    다. 상속결격사유⁄356 라. 상속결격의 효과⁄362
    마. 상속권 상실제도⁄363
    Ⅲ. 상속회복청구권 364
    1. 의 의 364
    2. 연 혁 364
    3. 상속회복청구권의 성질 365
    가. 독립권리설⁄366 나. 집합권리설⁄366
    다. 판 례⁄367 라. 검 토⁄370
    4. 상속회복청구권의 당사자 370
    가. 청구권자⁄371 나. 의무자⁄372
    5. 상속회복청구권의 행사 377
    가. 행사의 방법⁄377 나. 행사의 효과⁄377
    6. 상속회복청구권의 소멸 378
    가. 청구권자의 포기⁄379 나. 제척기간의 경과⁄379
    다. 상속회복청구권 소멸의 효과⁄381
    Ⅳ. 상속재산 382
    1. 재산에 관한 권리의무 382
    2. 상속되는 재산과 법적 지위 383
    가. 대리 및 무권대리ㆍ무권리자의 처분⁄383
    나. 물 권⁄387 다. 지식재산권⁄389
    라. 채권 및 채권법상의 지위⁄389 마. 부의금(조위금)⁄401
    바. 형성권과 기대권⁄401
    사. 사후 인격권(死後 人格權)의 보호⁄402
    아. 퍼블리시티권⁄408 자. 기 타⁄412
    3. 제사용 재산의 특별승계 413
    가. 의 의⁄413 나. 제사용 재산의 범위⁄414
    다. 제사를 주재하는 자⁄416
    라. 제사를 주재하는 자에 의한 승계⁄420
    마. 1008조의3에 대한 입법론적 비판⁄421
    Ⅴ. 공동상속과 상속분 421
    1. 공동상속 421
    가. 공동상속재산의 공유⁄422 나. 채권ㆍ채무의 공동상속⁄422
    2. 법정상속분 424
    가. 상속분의 개념⁄424 나. 법정상속분⁄425
    3. 특별수익 427
    가. 의의 및 법적 성질⁄428 나. 특별수익자⁄428
    다. 특별수익⁄431 라. 구체적 상속분의 산정⁄436
    마. 그 밖의 문제⁄443
    4. 기여분 444
    가. 의 의⁄444 나. 기여분을 받을 수 있는 자⁄444
    다. 기여행위⁄445 라. 기여분의 결정절차⁄451
    5. 상속분의 양도와 양수 456
    가. 의 의⁄456 나. 상속분의 양도⁄456
    다. 상속분의 양수⁄457
    Ⅵ. 상속재산의 분할 459
    1. 의 의 460
    2. 분할의 대상 460
    가. 가분채권⁄460 나. 가분채무⁄461
    다. 상속재산은 아니지만 분할의 대상인지가 문제되는 재산⁄461
    라. 재단법인 설립, 증여⁄463
    마. 상속재산임의 확인을 구하는 소송⁄463
    3. 지정분할 464
    가. 지정의 방법⁄464 나. 지정의 내용⁄464
    다. 지정의 효과⁄465 라. 유언에 의한 분할의 금지⁄465
    4. 협의분할 466
    가. 협의분할의 당사자⁄466 나. 협의의 방법과 내용⁄469
    다. 협의분할의 무효ㆍ취소ㆍ해제⁄470 라. 협의분할의 금지⁄474
    5. 심판에 의한 분할 474
    가. 심판청구의 요건⁄474 나. 심판청구의 절차⁄476
    다. 전제문제에 대한 가정법원의 심판 권한⁄477
    라. 분할의 기준 및 방법⁄478 마. 심판의 효력⁄479
    6. 상속재산분할의 효력 480
    가. 상속재산분할의 효력발생시기⁄480
    나. 소급효⁄480 다. 공동상속인들의 담보책임⁄481
    7. 상속분가액상당지급청구권 482
    가. 의 의⁄483 나. 청구권자⁄484
    다. 상대방⁄485
    라. 다른 공동상속인이 분할 기타의 처분을 하였을 것⁄485
    마. 청구의 성질 및 내용⁄486 바. 제척기간⁄490
    Ⅶ. 상속의 승인과 포기 490
    1. 승인과 포기의 의의 490
    2. 승인과 포기 총칙 492
    가. 성질 및 요건⁄492 나. 승인 및 포기의 기간⁄494
    다. 승인ㆍ포기의 철회 및 취소⁄500
    라. 승인ㆍ포기 전의 상속재산 관리⁄503
    3. 단순승인 504
    가. 단순승인의 의의⁄505 나. 법정단순승인⁄505
    4. 한정승인 513
    가. 한정승인⁄514 나. 특별한정승인⁄525
    5. 상속의 포기 527
    가. 포기의 소급효⁄528 나. 포기자의 상속분⁄529
    다. 포기자의 상속재산 관리의무⁄535
    라. 상속포기와 채권자취소권, 신의칙⁄535
    Ⅷ. 재산분리 541
    Ⅸ. 상속인의 부존재 544
    1. 의 의 544
    2. 내 용 544
    제3장  유   언  548
    Ⅰ. 유언 일반 548
    1. 유언의 의의 및 기능 548
    2. 유언의 자유와 그 제한 548
    3. 유언능력 550
    4. 유언의 방식 553
    가. 유언의 요식성⁄553 나. 자필증서에 의한 유언⁄555
    다. 녹음에 의한 유언⁄562 라. 공정증서에 의한 유언⁄563
    마. 비밀증서에 의한 유언⁄566
    바. 구수증서(口授證書)에 의한 유언⁄567
    사. 증인결격⁄569 아. 유언의 검인⁄571
    5. 유언의 해석 571
    6. 유언의 철회와 취소 573
    가. 유언 철회의 의의⁄573 나. 유언 철회의 방법⁄576
    다. 철회의 철회⁄578 라. 유언의 취소⁄578
    Ⅱ. 유⅑⅑증 579
    1. 총⅑설 580
    가. 유증과 사인증여의 구별⁄580 나. 유증의 종류⁄584
    2. 유증의 당사자 585
    가. 수유자(受遺者)⁄585 나. 유증의무자⁄587
    3. 포괄적 유증 587
    4. 특정유증 589
    가. 특정유증의 승인과 포기⁄589 나. 특정유증의 효력⁄590
    5. 부담부 유증 595
    가. 총⅑설⁄595
    나. 부담의 무효와 부담부 유증의 효력⁄596
    다. 부담의 이행청구⁄596 라. 수유자의 책임범위⁄597
    6. 유증의 무효와 취소 598
    Ⅲ. 유언의 집행 599
    1. 의⅑의 599
    2. 유언의 검인 599
    3. 유언집행자 600
    가. 필 요 성⁄600 나. 유언집행자의 결정⁄600
    다. 유언집행자의 지위⁄602 라. 유언집행자의 임무⁄604
    마. 공동유언집행자⁄605 바. 유언집행자의 보수⁄605
    사. 유언집행자의 사퇴와 해임⁄605
    4. 유언집행의 비용 606
    제4장  유 류 분  607
    Ⅰ. 개⅑⅑설 607
    1. 의⅑의 608
    2. 연⅑혁 608
    3. 유류분제도의 근거 610
    Ⅱ. 유류분권 611
    1. 유류분권과 유류분반환청구권 612
    2. 유류분의 포기 612
    3. 유류분권리자 및 유류분의 비율 613
    가. 유류분권리자⁄613
    나. 유류분의 비율⁄613
    4. 유류분의 산정 614
    가. 개⅑관⁄614 나. 상속개시시에 가진 재산⁄614
    다. 증⅑여⁄615 라. 공제될 상속채무⁄619
    마. 기초재산 중 적극재산이 소극재산과 같거나 적지만,
    제3자에 대한 증여가 있는 경우⁄619
    바. 유류분권리자별 유류분⁄620
    사. 구체적인 유류분액의 산정⁄620
    Ⅲ. 유류분반환청구권 624
    1. 의⅑의 624
    2. 유류분 부족액의 산정 624
    3. 유류분반환청구권의 성질 627
    4. 유류분반환의 당사자 632
    5.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행사 633
    가. 행사의 방법⁄633 나. 반환의 순서⁄634
    다. 반환의 방법⁄635
    6. 신탁과 유류분 639
    7. 유류분반환청구권 행사의 효과 641
    8.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유류분반환청구 642
    가. 유류분반환청구와 상속재산분할청구의 관계⁄643
    나. 공동상속인 간의 유류분반환청구의 비율⁄644
    다. 유류분반환과 기여분⁄652
    9. 제3자에 대한 유류분반환청구와 기여분 653
    10. 유류분반환청구권의 소멸 655
    가. 유류분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655
    나. 유류분반환청구권의 포기⁄658
    다. 유류분반환청구권과 신의칙⁄658


    조문색인 661
    판례색인 676
    사항색인 702


    일러두기




    ◦ 법령약어
    ※ 민법의 조문은 조문만으로 인용한다.
    가사소송규칙 家訴規
    가사소송법 家訴
    가족관계등록예규 登錄例規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규칙 家登規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家登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南北特
    민사소송법 民訴
    민사집행법 民執
    비송사건절차법 非訟
    상법 商
    상속세 및 증여세법 相贈
    헌법 憲
    형법 刑
    후견등기에 관한 법률 後見

    ◦ 참고문헌(괄호 안은 인용약어임)
    1. 교 과 서
    곽윤직, 상속법, 개정판, 박영사, 2004 (곽윤직)
    김용한, 친족상속법론, 보정판, 박영사, 2003 (김용한)
    김주수ㆍ김상용, 친족ㆍ상속법-가족법-, 제18판, 법문사, 2022 (김주수ㆍ김상용)
    박동섭ㆍ양경승, 친족상속법, 제5판, 박영사, 2020 (박동섭ㆍ양경승)
    박병호, 가족법, 한국방송통신대학, 1991 (박병호)
    송덕수, 친족상속법, 제6판, 박영사, 2022 (송덕수)
    신영호ㆍ김상훈, 가족법강의, 제3판, 세창출판사, 2018 (신영호ㆍ김상훈)
    이경희ㆍ윤부찬, 가족법, 제10판, 법원사, 2021 (이경희ㆍ윤부찬)
    한봉희ㆍ백승흠, 가족법, 삼영사, 2013 (한봉희ㆍ백승흠)

    2. 주 석 서
    윤진수 편집대표, 주해친족법 1권, 2권, 박영사, 2015 (주해친족 1, 2/집필자)
    윤진수 편집대표, 주해상속법 1권, 2권, 박영사, 2019 (주해상속 1, 2/집필자)
    민유숙 편집대표, 주석민법 친족 1, 2, 제6판, 한국사법행정학회, 2020
    (주석친족 1/집필자)
    민유숙 편집대표, 주석민법 상속, 제5판, 한국사법행정학회, 2020
    (주석상속/집필자)

    3. 실 무 서
    법원실무제요 가사 [1], [2], 2021 (제요 [1], [2])

    ◦ 판례 출전 표시
    BGHZ Entscheidungen des Bundesgerichtshofes zur Zivilsachen
    (독일연방대법원 민사판례집)
    BVerfGE Entscheidungen des Bundesverfassungsgerichts
    (독일연방헌법재판소 판례집)
    NJW Neue Juristische Wochenschrift
    RGZ Entscheidungen des Reichsgerichts zur Zivilsachen
    (독일제국법원 민사판례집)
    民集 最高裁判所民事判例集

    ◦ 용  어
    일본식 표현인 「급부」와 「입증책임」이라는 용어는 「급여」와 「증명책임」으로 대체하였으나, 판례 또는 다른 문헌을 인용하는 경우에는 「급부」와 「입증책임」이라는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배송정보

:: 구입도서는 5만원이상 무료배송입니다.
:: 제주도, 도서(섬)지역의 경우 추가배송료를 지불하셔야 합니다.
:: 단 제주도 및 섬지역의 경우에도 결제금액이 10만원이상일 경우 추가배송료(항공료)없이 무료배송입니다.
:: 배송은 로젠택배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 입금확인 후, 수도권 및 지방은 2~4일 이내(평일 기준)에 도서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천재지변에 의한 기간은 배송기간에서 제외합니다. ]


※ 배송절차 및 주문안내

배송절차는 결제확인(카드결제시), 입금확인(무통장입금)→결제확인 및 도서준비중→배송중→배송완료 총 4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주문하신 내용의 변경 또는 취소는 장바구니에서만 가능합니다.주문을 하시고 결제전(카드결제시)이거나 입금확인
(무통장입금)이 되지 않을 경우 2일후 주문은 취소됩니다.
변경이나 취소를 원하는 경우에는 배송되기 전에 전화주시면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발송된 상품 주문에 대한 변경 및 취소할 경우에는 이에 따르는 배송비를 구매자가 부담하셔야 합니다.

.

교환/반품

:: 도서의 교환이나 환불은 법률서점에서 구입한 도서에 한합니다.
:: 파본의 경우 교환 및 환불이 가능합니다.
:: 구입하신 도서가 잘못된 경우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전화번호(02-521-8199)
:: 오픈매장 영업시간은 평일 오전9시부터 오후 7시까지입니다.
:: 기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훼손 및 고객변심에 의한 교환이나 환불은 불가합니다.

사용후기

등록된 사용후기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회사명 법률서적 주소 서울 서초구 법원로2길 7-4 동용빌딩 1층 104호(서초동1712-2)
사업자 등록번호 747-23-00170 대표 양갑수 전화 02-521-8199 팩스 02-598-0332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21-서울서초-2185호 Copyright © 2015 법률서적. All Rights Reserved.

CREATED BY 바른web
TOP▲